 |
-042/11/16 |
로마황제 티베리우스 출생. |
|
 |
-043/03/20 |
로마 시인 오비드 출생. |
|
 |
-063/09/23 |
로마황제 아우구스투스 출생. |
|
 |
-100/07/12 |
BC100 로마황제 줄리어스 시저 출생. |
|
 |
-427/05/31 |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BC 427) 출생. |
|
 |
0037/12/15 |
로마황제 네로 출생. |
|
 |
0055/09/15 |
로마 황제 마르쿠스 울피우스 트라하누스(Marcus Ulpius Trajanus) 출생. |
|
 |
0172/12/29 |
프랑스왕 루이 15세의 정부 퐁파두르부인 출생. |
|
 |
0240/06/01 |
팜필루스(Pamphilus) 탄생. 초대교회 순교자 |
|
 |
0354/11/13 |
중세의 신학자 아우구스티누스 출생.
"죄를 범할 능력이 없을 때 죄에 대해 조심한다는 것은 죄악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죄악에게 버림받는 것이다." |
|
 |
0418/12/26 |
조시무스 출생. 교황 이노켄티우스 1세를 계승하여 교황이 됨. |
|
 |
0439/09/07 |
이사이쿠스 출생. 아르메니아 정통교회의 영적 우두머리,아르메니아의 문화 교회적 독립을 주창함. |
|
 |
0551/08/27 |
공자 출생. 그의 가르침은 유교를 통하여 중국문화권에서 문화의 모든 영역에 걸쳐 사상적 기반을 형성하고, 그 역사적 전개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 |
|
 |
0570/04/22 |
이슬람교 창시자 마호메트 출생. 정확한 날짜는 알 수 없으나 일반적으로 4.22을 지킨다. 25일과 1월 23일 설도 있다. |
|
 |
0600/10/11 |
카이네크 출생. AD에 출생. 아카드보의 대수도원장. 아일랜드에서는 성 카니스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
 |
0607/11/12 |
보니파키우스 3세 출생. 607.2.19-11월까지 교황으로 재위. |
|
 |
0912/11/23 |
오토 1세 출생, 신성로마제국 황제이자 독일의 왕. |
|
 |
0975/07/25 |
티에트마르 출생. 1018.12.1. 사망. 메르세부르크의 주교이자 연대기 기자. 그는 908-18년까지의 독일의 연대기에 기초한 8권의 역사를 기록함. |
|
 |
1016/10/26 |
프랑스 대통령 프랑수아 미테랑 출생. |
|
 |
1024/18/59 |
장기영 출생. 침례교 초기 신자. 대한기독교(동아기독교전신)의 창립 총회시 초대감로(장로의 직급)로 장립됨. |
|
 |
1027/10/28 |
하인리히 3세 출생. 독일의 왕이자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인 하인리히 3세는 11세기에 서방교회를 정화하는 클루니운동의 강력한 지지자. |
|
 |
1050/11/11 |
하인리히 4세 출생. 독일 왕이자 신성로마제국 황제. |
|
 |
1061/05/05 |
부이용의 고드프리유( Godfrey of Bouillon) 출생, 노르만 십자군, 최초의 예루살렘 왕이 됨. |
|
 |
1117/03/21 |
내스미드 출생. 스코틀랜드의 박애주의자.글래스고우에서 최초로 도시 구제단체를 설립한 도시자선의 선구자. |
|
 |
1156/01/20 |
헨리 출생. 핀란드의 사도. 성자. 주교 및 순교자. 그의 죽음은 오늘날까지도 노래들과 실화들을 통해 찬양되고 있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