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3년(단종 1)수양대군(首陽大君)이 왕위를 빼앗기 위하여 일으킨 사건. 세조가 왕위 찬탈. 세종(世宗)의 뒤를 이은 병약한 문종(文宗)은 자신의 단명(短命)을 예견하고 영의정 황보인(皇甫仁), 좌의정 남지(南智), 우의정 김종서(金宗瑞) 등에게 자기가 죽은 뒤 어린 왕세자가 등극하였을 때, 그를 잘 보필할 것을 부탁하였다. 세 사람 중 남지는 병으로 좌의정을 사직하였으므로 그의 후임인 정분(鄭)이 대신 당부를 받았다.
그러나 수양대군은 1453년 문종의 유탁(遺託)을 받은 삼공(三公) 중 지용(智勇)을 겸비한 김종서의 집을 불시에 습격하여 그와 그의 아들을 죽였다. 이 사변 직후에 수양대군은 김종서가 모반하였으므로 주륙(誅戮)하였는데 사변이 창졸간에 일어나 상계(上啓)할 틈이 없었다 고 사후에 상주(上奏)하였으며, 곧 이어 단종의 명이라고 속여 중신을 소집한 뒤, 사전에 준비한 생살(生殺)계획에 따라 황보인, 이조판서 조극관(趙克寬), 찬성 이양(李穰) 등을 궐문(闕門)에서 죽였으며, 좌의정 정분과 조극관의 동생인 조수량(趙遂良) 등을 귀양보냈다가 죽였으며, 수양대군의 친동생인 안평대군이 황보 인 ․김종서 등과 한 패가 되어 왕위를 빼앗으려 하였다ꡑ고 거짓 상주하여 강화도로 귀양보냈다가 후에 사사(賜死)하였다.
수양대군은 10월 10일의 정변으로 반대파를 숙청한 후 정권을 장악하였는데, 그는 의정부영사와 이조 ․병조 판서, 내외병마도통사(內外兵馬都統使) 등을 겸직하였고, 정인지(鄭麟趾)를 좌의정, 한확(韓確)을 우의정으로 삼았으며, 집현전으로 하여금 수양대군을 찬양하는 교서(敎書)를 짓게 하는 등 그의 집권태세를 굳혀갔다. 이 정변이 계유년에 일어났으므로 이를 계유정난이라 하는데, 이 사건에 공이 있다 하여 수양대군 ․정인지 ․한확 ․이사철(李思哲) ․박종우(朴從愚) ․이계전(李季甸) ․김효성(金孝誠) ․권람(權擥) ․홍달손(洪達孫) ․최항(崔恒) ․한명회(韓明澮) 등 37명은 정난공신(靖難功臣)이 되었다.
계유정란(세조의 왕위 찬탈)과 관련된 시조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운님 여의옵고
내마음 둘데 없어 냇가에 앉았으니
저물도 내 안 같아야 울어 밤길 녜놋다(왕방연)
수양산 바라보며 이제를 한 하노라
주려 죽을진들 채미도 하는 것가
비록애 푸새엣 것인들 긔 뉘 따헤 났다니(성삼문)
이 몸이 죽어가서 무엇이 될꼬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 되어서
백설이 만건곤할 제 독야청청 하리라.(성삼문)
방안에 혓는 촉(燭)불 눌과 이별(離別)하엿관대
것츠로 눈물 디고 속타는 줄 모로는고
저 촉(燭)불 날과 갓타여 속타는 줄 모로도다.(이개)
간밤에 부던 바람에 눈서리 치단 말가
낙락 장송이 다 기우러 가노매라
하물며 못다 핀 꽃이야 일러 무엇하리오.(유응부)
간밤에 우던 여흘 슬피 우러 지내여다.
이제야 생각하니 님이 우러 보내도다.
져 물이 거스리 흐르고져 나도 우러 녜리라.(원호)
>> 목차고리 : 세계 > 아시아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연결고리 : 대한민국, 한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