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인명사전) : 978건 |
|
|
|
 | | [인명사전] 김창준(金昌俊, 1890.5.23~1959.9.29)
한국감리교인물사전 (관리자) |
평안남도 강서군 증산면에서 태어났다. 증산면은 1911년 당시에 회당이 10여 처에 달하는 지역이었는데 이것은 1893년부터 평양지방에서 선교를 시작한 홀(W.J. Hall)의 활동 때문이었다. 김창준 목사의 집안 역시 일찍부터 기독교를 접한 것으로 보인다. 문요한(J.Z. Moore, 文約翰) 선교사가 운영하는 강서군 반석면 야소 ...
|
|
 | | [인명사전] 김창화(1915. 1. 9~1950. 8. 4) 교사
(관리자) |
1915년 1월 9일 평북 의주군 피현면 채마동 출생했으며, 1946년 월남하여 영락교회 중등부와 서울 사대부속중학교에서 기독학생회 지도교사로 활동하였다. 한국전쟁때 공산당의 인민재판에 회부되었으며, 대한민국 만세를 부르고, 기도하는 자세로 1950년 8월4일 살해되었다.
로하보통학교 졸업신성중학교 졸 ...
|
|
 | | [인명사전] 김철훈(金哲勳, 1905.10. 7~1948. 6.25) 목사
(관리자) |
반일사상으로 혹심한 옥고를 치루고 순교함
[장로교 목사, 순교자]
경기도 평택에서 출생
숭실중학교 졸업. 숭실전문학교 졸업.1936년 평양신학교 졸업(31기) 1936년 숭실학교 교목 부임1936년 5월 용강읍교회 부임1938년 2월 송산교회로 부임1939년 3월 삼성리교회 부임1945년 10월 동평양교회 부임194 ...
|
|
 | | [인명사전] 김현석(1903. 7.26~1950.?) 장로
(관리자) |
1903년 7월 26일 평남 대둥군에서 김응상씨의 아들로 출생. 기독교 자유당을 창당하려고 힘쓰다가 옥고중 6·25때 총살되었다.
서북청년단원 연합회 초대회장 역임농민생활 월간지 발간신광교회 장로 장립물산장려운동 건국준비위원회 결성 신탁통치 반대 운동 기독교자유당 창설 발기인
김현석은 1903년 ...
|
|
 | | [인명사전] 김화식(1893. 1.?~1947.11.19) 목사
(관리자) |
1893년 1월 평남 숙천에서 김찬성 목사의 아들로출생,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하고 평양 창동교회와 장대현교회에서 시무하였다. 삼일운동으로 2년 6개월을 복역하였으며, 해방 후에는 기독교자유당 창당을 위한 주도 인물로 1947년 11월 19일 공산 정권에 체포, 18년의 장기징역을 언도 받고 복역중 살해되었다.
숭 ...
|
|
 | | [인명사전] 김활란(金活蘭, 1899-1970) 박사
(관리자) |
한국최초의 여자박사(이화여자전문학교 제7대 교장이됨)
[1899.2.27-1970.2.10] 인천에서 출생
1. 출생과 성장
"나는 인간의 생명이 영원 불멸하다는 것을 믿고 날마다 하나님께서 힘주시는 대로 더 좋은 생명의 길을 찾기 위해 살아왔소, 육체와 환경에 얽매인 것을 극복하면서 내 나름대로 승리의 길을 걸어 ...
|
|
 | | [인명사전] 김효임(1804-1839)
한국천주교주교회의/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관리자) |
한국 천주교회의 103명의 성인중 한사람.동정 순교자 김효임은 서울 근교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를 여읜 뒤 전 가족이 입교하고 유방제(劉方濟) 신부에게 세례성사를 받았다. 김효임은 두 여동생과 함께 동정을 지키기로 결심하고 독실한 신앙 생활을 하던 중, 1839년 4월 경기도 고양군 용머리에서 동생 김효 ...
|
|
 | | [인명사전] 김효주(1816-1839)
한국천주교주교회의/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관리자) |
한국 천주교회의 103명의 성인중 한사람.언니 김효임(金孝任)과 같이 동정 순교자인 김효주는 서울 근교 밤섬의 한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 뒤 경기도 고양군 용머리(龍頭里)로 이사해 살았다. 아버지를 여읜 뒤 온 가족이 함께 입교하여 중국인 유방제(劉方濟) 신부에게 세례성사를 받았다. 언니 김효임, 동생 김 클 ...
|
|
 | | [인명사전] 김희서(1873.10.20~1918.10.20) 선교사
(관리자) |
1873년 10월 20일 충남 부여에서 출생 한학을 이수한 후 기독교로 개종. 1915년 목사후보인 교사로 "만인 좋은 기별"이란 전도책자를 만들어 만주에서 전도했으며 1918년 시베리아 선교명령을 받고 항해 중 돌풍을 만나 그를 포함한 4인의 선교사역자들이 희생되었는데 그는 45세 되던 10월20일 생일에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 ...
|
|
[인명사전] 꽁뜨(Isidor Comte, 1798-1857)
한국컴퓨터선교회 (관리자) |
프랑스의 철학자, 수학자, 사회학의 창시자. 그의 실증철학의 목표는 프랑스혁명 후의 프랑스 사회의 도덕적 무정부상태에 새로운 질서를 주어 정치적 통일에까지 이끄는 데 있었다. 그의 실증철학 체계는 객관적 방법으로, 즉 정신에 의하여 '세계에서 인간으로' 의 순서로 이루어졌으나, 만년에 이르러서 '인간에서 세계에 ...
|
|
 | | [인명사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éon Bonaparte, 1769. 8.15~1821. 5. 5)
(관리자) |
프랑스 혁명기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훗날 프랑스 제1제국의 황제 나폴레옹 1세(Napoléon I, 재위 1804년~1814년, 1815년)로 즉위한다. 또한, 라인 동맹의 보호자 겸 이탈리아의 왕이기도 하였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eon Bonaparte) 또 다른 이름은 Le Caporal이다.
나폴레옹은 1769년 8월 15일, 지 ...
|
|
 | | [인명사전] 남경문(1796-1846)
한국천주교주교회의/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관리자) |
한국 천주교회의 103명의 성인중 한사람.서울의 중인 집안에서 태어난 남경문은 20세 때 교우 처녀 허 바르바라와 혼인하였는데, 큰 병에 걸려 대세를 받고 회복된 뒤 회장이 되었다. 1839년 기해박해 때 체포되었다가 배교하여 석방되고 나서는 첩까지 거느리고 3년 동안 방탕한 생활을 하였다. 그러나 다시 교회로 돌아와 ...
|
|
[인명사전] 남궁억(1863-1939) 민족운동가
(관리자) |
1. 갓쓰고 영어를 배우다
남궁억은 1863년 12월 27일,왜송곡(현 정동)에서 철종때 무과를 지낸 남궁영씨의 외아들로 출생하였다. 그의 본관은 함열이요,자는 치만,호는 한서이다.
본래 양반집 가문에서 출생하였으나 불행하게도 아버지를 일찍 잃은고로 덕수 이씨인 홀어머니의 슬하에서 고생스럽게 자라났다. 그러나 ...
|
|
 | | [인명사전] 남궁혁(南宮爀, 1882. 7. 1~1950. 8.23) 목사
(관리자) |
장로교 목사, 신학자 납북인사
1882년 7월 서울에서 출생했으며, 장로회신학교를 졸업한 후 리치몬드 유니온신학교에서 신학박사학위를 받고 한국인 최초의 신학교수가 되었다. 평양신학교가 신사참배 문제로 문을 닫자 중국으로 망명했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KNCC총무로 있다가 1950년 8월 23일 공산군에게 납북되었다. ...
|
|
|
|
|
[배너등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