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인명사전) : 978건 |
|
|
|
 | | [인명사전] 김재준(1902.?~1950. 8.22) 장로
한국순교자기념사업회 (관리자) |
1902년 전북 금산에서 출생했으며, 1941년이래 금성교회 장로로 봉사하면서 6·25를 맞았다. 1950년 8월 22일 공산군에게 구주바위 골짜기로 끌려가 휘두르는 총에 맞아 숨을 거두었다.
청소년 시절에 전도를 받아 그렇게 관심을 갖지 못했으나 양원숙 장로의 권유에는 자신도 이상하리만큼 끌려들어갔다. 마을에서 유지일 ...
|
|
 | | [인명사전] 김재준(金在俊, 1901.9.26~1987.1.27 호는 장공)
(관리자) |
한국기독교장로회를 창시한 장로교 목사로 1901년 함경북도 경흥에서 태어났으며, 청년기에 개신교로 개종했다. 그는 유학자 아버지에게 사서삼경과 동양고전을 배우면서 자란 덕분에, 한국인의 주체적인 눈으로 서구에서 전래된 개신교를 받아들일 수 있었다. 일본 도쿄 아오야마신학교,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웨스트민스 ...
|
|
[인명사전] 김정복(1882~1950) 목사
목양신문 (관리자) |
장로교 목사 순교자
1. 성장,목사안수 받음충남 서천군 한산면 종지리에서 출생,충남지방의 초대교회인 종지리교회에 출석하면서 신앙생활을 하게 되었다.1916년 전라노회 추천으로 평양 장로회신학교에 입학 하였다. 입학한지 8년만인 1924년에 신학교를 졸업(17회)하고 전남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은 후, 곧 제주 ...
|
|
 | | [인명사전] 김정준(金正俊, 1914-1981) 목사
(관리자) |
신학교육과 구약학 발전에 공헌
1. 성장과 투병생활
1914년 11월 6일 경남 동래군 구포에서 출생. 어려서부터 기독교가정에서 성장하여 1935년 평양숭실중학교를 졸업하였고 이때 성경교사 송창근박사의 총애를 받게 되었다.
1939년 연희전문학교를 2년 수료하고 도요쿄오 아오야마학원 신학부에 입학하여 43년 졸 ...
|
|
 | | [인명사전] 김제준(1796-1839)
한국천주교주교회의/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관리자) |
한국 천주교회의 103명의 성인중 한사람.김대건(金大建) 신부의 아버지로 충청도 면천(沔川)땅 솔뫼에서 태어났다. 1814년에 순교한 할아버지 김진후(金震厚)와 큰아버지의 권면으로 입교한 뒤 자유로운 신앙 생활을 위하여 경기도 용인(龍仁)으로 이사하여 농사를 짓고 살았다. 이 무렵 나 베드로(모방) 신부를 찾아가 세례 ...
|
|
 | | [인명사전] 김제현(1891.10.?~1950. 6.25) 장로
(관리자) |
1891년 10월 평남 대동군에서 출생.
1916년 펴양숭실전문학교 졸업(제7회)평양숭실학교교장평양신학교 수료
1891년 10월 평남 대동군에서 출생했으며 1916년 숭실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숭덕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1919년 3.1운동에 가담하여 선교사집 지하실에서 독립만세 삐라를 등사하는 책임을 맡아 등사하여 ...
|
|
 | | [인명사전] 김종범(1904.?~1950.10.?) 영수
(관리자) |
1904년 평남 안주군 연호면 상팔리에서 출생. 평양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연호소학교장으로서 상팔리 교회 영수로 봉직하던 중 1950년 10월 장윤홍 목사, 김병은 장로와 함께 공산군에 체포되어 순안군 어파지역으로 끌려가 총살 되었다.
>> 목차고리 : 세계 > 아시아 > 동아시 ...
|
|
 | | [인명사전] 김종우(金鐘宇, 1884-1939) 목사
이봉구 (관리자) |
영력의 목회자
1. 머릿말
김종우감독은 영력의 인물이었다. 그의 호는 천곡이다. 그는 1884년 9월 21일,경기도 강화군 위량면 홍천동 천곡촌에서 김철교의 아들로 태어났다.
2. 천곡의 학력
천곡은 어려서 부터 정직했다.그리고 지혜가 출중했다. 그는 8세부터 자기집 글방에서 한문을 8년간이나 수학했다. 그리고 ...
|
|
 | | [인명사전] 김종한(金種漢, 1904.10.28~1950. 9.26) 목사
(관리자) |
6.25사변중 만경에서 공산군에게 피살 순교함
장로교 목사, 6.25사변중 만경에서 공산군에게 피살 순교함.
오사카 상업중학교 졸업아오야마학원 신학부 졸업조선신학교 졸업청량리교회 시무석탄리 교회 가실리교회 시무신기리교회만경교회 부임
1. 목회의 사명을 가지고 신학을 공부
김종한 목사는 ...
|
|
 | | [인명사전] 김주현(1903.?~1950. 9.?) 목사
(관리자) |
1903년 함북 북청에서 출생했으며 원산 석우동교회와 함흥 북주동교회에서 목회하였다. 6·25당시 전북 후정교회를 담임하고 있었는데 공산군은 이북에서 월남한 자라 하여 변절을 강요하면서 타살하였다.
용정학교 졸업1937년 평양신학교 졸업 함남노회에서 안수서운진교회를 담임. 복주동교회 담임. 내호교회 담임 가실 ...
|
|
[인명사전] 김준근(金俊根, ?~?)
(관리자) |
한말의 풍속화가. 호 기산(箕山). 성장 배경은 알 수 없다. 1889년 경 부산에서 살 때 선교사 J.S.게일을 처음으로 만났으며, 92년 게일을 따라 원산에 가서 한역 《텬로역뎡(天路歷程)》의 삽화를 맡아 그렸다. 그 외에도 19세기 후반 생업·놀이·형벌·의례 등 서민들의 생활모습과 민속을 담은 300여점의 풍속화를 남겼 ...
|
|
 | | [인명사전] 김진수(1901. 1.21~1950. 9.?) 목사
(관리자) |
1901년 1월 21일 평북 선천 출생, 숭실전문을 거쳐 장로회신학교 졸업, 선천동교회에 시무하였다. 「일본기독교 조선교단」발족을 반대, 복역하다가 해방과 함께 출옥 해방 후 북한 5도 연합 노회회장으로 북한교리를 진리로 지켰으며, 1947년1월 체포되어 6년형의 언도를 받고 흥남 감옥에서살해되었다.
신성중학 ...
|
|
 | | [인명사전] 김진하(1920.10. 3~?) 참위
(관리자) |
1920년 10월 3일 경북영덕에서 출생했으며, 구세군의 3대 교인으로 1949년 사관학교를 졸업 했으며 황해도 연백의 군영을 담당하였다. 6·25때 서울로 잠시 피난하였으나 국군의 북진으로 임지에 돌아가 활동하던 중 공산군에게 살해되었다.
화매리영 초등교육.와세다대학 중학가정통신강의록 대입검정고시 합격1 ...
|
|
 | | [인명사전] 김창덕(1908. 2. 3~1951.?) 목사
(관리자) |
평남 안주군 용화면 용담리에서출생하였으며 용담교회에서 김익두 목사의 사경회에 참석, 중병이 치유되면서 예수를 영접하여새사람이 되었다. 그는 만학으로 동경제대를 거쳐일본신학에서 수학하였고 1946년부터 안주노회갈산교회 목사로 시무하였으며 공산당의 박해로안주감옥에서 옥고를 치르다 1·4후퇴시 패퇴하는인민 ...
|
|
[인명사전] 김창식(金昌植, 1857-1929) 목사
홍석창 (관리자) |
한국의 사도 바울
1.요리사로부터 전도자로
김창식 목사는 1857년 황해도 수안군 생금촌 바리봉골에서 경주 김씨의 세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20세까지 부모를 도와 농사일을 하다가, 이러다가는 일생을 농사군으로 살게 될 것 같아 부모에게 알리지도 아니하고 집을 나와 버렸다. 그는 그후 10여년 동안 8도를 ...
|
|
|
|
|
[배너등록]
|